1) 1차 세계대전과 산업심리학 발달(1917년∼1918년)
1차 세계대전은 산업심리학이 인간의 일상생활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학문분 야임을 사람들에게 인식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 시기 산업 심리학자의 가장 직접적인 기여는 전쟁을 수행하는 군인들이 적절한 기능을 가졌는지를 파악해내는 것이었다. 심리학자들로 구성된 위원회는 신병들의 동기, 사기, 훈련, 신체적 부상으로부터 오는 심리적 문제들을연구하기 시작하였다. 군대를 통솔할 장교를 선발하고, 훈련하는 방법을 고안해내는 것도 산업 심리학자들이 담당하면서산업심리학의 활동 분야가 더욱 확대되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하였다.
2) Yerkes(1876년∼1956년)
1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심리학회장이었던 Yerkes는 1916년 소령으로 임명받게 된다. 정부에 의해서 심리학이 전쟁 수행에 도움을 주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표로 기용되었던 Yerkes는 신병 모집에서 정신 능력이 부족한 사람을 가려내고 선발된 신병들을 군대 내의 적절한 직무에 배치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것을 위해서 1917년 집단지능검사 Army-А와당시 군대 지원자 중 약 30%를 차지하던 문맹자를 대상으로 한 Army-В을 개발하였다. Yerkes가 개발한 집단지능검사는 개인을 적재적소에 배치하기 위해 개발된 최초의 심리검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Yerkes는 지능을 구성하는 요소로이해력, 판단력, 논리력을 선정하면서 지능에 대한 개념 발달에 기여하였다. 하지만 Yerkes가 개발한 집단지능검사는 공식화를 마친 3개월 후 1차 세계대전이 끝나면서 실제적인 사용에는 한계가 있었다.
전쟁 종료와 함께 군대를 전역 후 Yerkes는 카네기 공과대학에 판매 기술 연구소(The Bureau of Salesmanship Research)를 설립하여 최초의 심리학과 산학협동 방식에 기여하게 된다. Yerkes의 연구소는 27개 회사에서 1년에500달러씩 기부금을 지원받은 기도 하였다. 이러한 산학업적은 H 판매원 선발을 위한 방법 H이라는 저서 간행으로 이어렸는데, Yerkes의 연구소는 판매원뿐만 아니라 사무원 및 간부사원의 선발, 분류, 능력개발에 관한 연구를 집중적으로실시하는 데 기여하였다. Yerkes의 조수이기도 한 Carl Brigham(1926)은 Army-А 제작 경험을 살려 미국 대학생을선별하는 학업 적성 검
사(SAT)를 제작하게 된다. (2) Scott(1869∼1955)
광고심리학에 주로 기여하던 Scott도 1차 세계대전에 징집되었다. Scott는 군대 내에 서 병사들을 적절히 배치하는 것에 관여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주로 장교에 대한 수행평가를 실시하였다. Scott 등의 심리학자들은 1차 세계대전을통해서 심리학자가 사회와 기업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시켜 주는 성과를 내었다.
1차 세계대전 기간에 미국에서는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1917)가 창간되면서 최초의 산업심리학 학술지가출판되었다. 1917년 창간호에는 Hall의 ‘심리학과 전쟁 간의 실용적 관계에 관한 연구’와 Mater의 ‘전쟁에서 정신박약자의 문제’ 그리고 Bingham의 ‘대학생의 정신 능력 검사 등에 관한 연구’가 소개되었다.
3) 산업심리학 연구의 활성화(1919년∼1940년)
1921년에는 Cat tell에 의해서 Psychological Corporation이 설립되었는데, 심리학을 기업에 접목하려는 활동들이늘어나면서 산업심리학의 유용성을 알리는 데 주력하였다. Cat tell이 설립한 Psychological Corporation은 믿을 만한 권위 있는 심리학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면서 심리학자의 자격에 관련한 최초의 작업을 수행하였고, 가짜 심리학자들을 색출해서 심리학이 과학과 산업계에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공신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노력하였다.
1921년에는 Pennsylvania 주립대학에서 Bruce V. Moore에 최초의 산업심리학 박사학위 수여하였으며, 1924년에는역사적인 호소는 연구가 실시되었다. 1932년에는 Viteles에 의해서 최초의 산업심리학 단행본이 출판되었다(Brett, 2009).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심리학 발달(1) (0) | 2022.09.19 |
---|---|
산업심리학 연구의 활성화 (0) | 2022.09.19 |
산업심리학의 태동(1) (0) | 2022.09.19 |
심리학 분야 (0) | 2022.09.19 |
산업심리학 (0) | 2022.09.19 |
댓글